충청 천안

역지사지(歷地思之) - 역사지리정보(HGIS) 위키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충청_아산_대동여지도_복원
충청_온양_대동여지도_복원
충청_신창_대동여지도_복원

답사지

  • 영괴대
  • 현충사
  • 삽교천 방조제
  • 아산천 방조제
  • 아산 맹씨 행단
  • 천주교 공세리 성당
  • 영인산성

지역 개요

  • 위치 : 아산시는 충청남도 북쪽 끝에 위치한 시로서,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, 동쪽으로는 천안시, 남쪽으로는 공주시, 서남쪽으로 예산군, 서쪽으로 당진시(이상 충청남도)와 맞닿아 있음.
  • 면적 : 542.81㎢(2024년 기준) . 100,210㎢(남한면적)의 0.54%, 충청남도 내의 15개의 시·군 중 9번째로 큰 행정구역. [1]
  • 인구 : 392,509명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내에서 천안시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. [2]
  • GRDP : 33,139,542,000,000원(2015년 기준년가격), 충청남도 내에서 가장 높음.[3]
  • 수출금액 : 645.7억불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수출금액 925.9억불(2024년 기준)의 약 70%.[4]
  • 주요 기업 : 삼성전자 공장, 삼성디스플레이 본사, 현대자동차 공장
  • 산업 구조 :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음.[5]
    • 산업종사자 : 204,210명(2023년 기준)
    • 제조업 종사자 : 93,965명(2023년 기준).
  • 인구 구성 : 젋은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도시.[6]
    • 평균 연령 : 40.9세 / 전국 45.1세
    • 중위 연령 : 41.2세 / 전국 46.2세
  • 자연지리[7]
    • 아산시 북쪽으로는 차령산맥의 여맥에 속하는 산맥이 있어, 영인산(363.5m)등이 있으며, 남쪽으로도 산이 발달하여 도고산(484.7m), 설화산(447.5m), 광덕산(699.3m) 등이 있음.
    • 남쪽 산맥에서 발원하는 곡교천은 아산시 중앙을 동에서 서로 관통하며, 삽교천과 합쳐져 아산만으로 흘러감.
    • 북쪽으로는 아산만방조제로 생긴 아산호, 서쪽으로는 삽교천방조제로 생긴 삽교호가 있으며, 그 사이로 아산만을 통해 서해로 나갈 수 있음.

행정구역 변천

  • 삼국시대
    • 명칭은 ‘도살성(道殺城)’으로 불렸으며, 이후 ‘사산(沙山)’으로 변경되어 한산주 속현이 되었다.
    • 또 다른 명칭으로는 ‘사산’과 ‘대목악(大木嶽)’이 있었는데,
      • 사산(직산)은 현재의 성환·성거·직산·입장 및 천안 시가지에서 안성천 건너편 지역까지 포함하였다.
      • 대목악(목천)은 현재의 동부 6개 면과 풍세면, 광덕면 일대를 관할하였다.
  • 통일신라시대
    • 신문왕 7년(687)에 대목악을 ‘웅천주(熊川州)’로 개칭하였다.
    • 같은 해 사산은 ‘한산주(漢山州)’ 속현으로 편입되었다.
    • 경덕왕(757) 때는 웅천주를 ‘대록군(大麓郡)’으로 다시 개칭하였다.
  • 고려시대
    • 태조 13년(930)에 ‘천안도독부(天安都督府)’를 설치하였으며, 직산현 일부·목주군 일부·탕정 일부를 관할하였다.
    • 성종 2년(983)에는 ‘천안부(天安府)’로 개칭되어 공주목 소속이 되었고, 목천은 청주목 소속으로 분리되었다.
    • 성종 14년(995)에는 ‘환주(桓州)’로 명칭을 바꾸었는데, 이는 ‘천자(天子)’를 상징하는 이름이라는 이유로 변경된 것이다.
    • 현종 9년(1018)에는 다시 ‘천안부’로 복원되었고 양광도에 소속되었다. 관할 군현은 온수(온양), 아주(아산), 신창, 풍세, 예산, 직산 등이었다.
    • 예종 1년(1106)에는 도명칭이 양광도에서 양광충청도로 변경되었다.
    • 충선왕 2년(1310)에는 군명을 바꾸었으나 민간에는 시행되지 않았다.
    • 공민왕 11년(1362)에 다시 ‘천안부’로 환원되며 충청도 소속이 되었다.
  • 조선시대
    • 태종 13년(1413)에 ‘영산군(靈山郡)’으로 잠시 개칭되었다.
    • 태종 16년(1416)에 ‘천안군(天安郡)’으로 복원되었으며, 천안시 일원과 광덕면, 풍세면이 관할 구역이었다.
    • 천안군수는 문관 종4품, 직산현감과 목천현감은 종6품이었다.
  • 1900~1990년대
    • 1963년 1월 1일: 천안군의 천안읍과 환성면을 통합해 천안시로 승격, 천안군은 ‘천원군’으로 개칭되었다.
    • 1973년 1월 1일: 성환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1읍 11면 체제가 되었고, 일부 리가 병천면에 편입되었다.
    • 1975년 1월 1일: 10개 출장소를 10개 동으로 개칭하였다.
    • 1983년 2월 15일: 풍세면 구룡리가 천안시에 편입되었다.
    • 1985년 10월 1일: 성거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2읍 10면 체제가 되었다.
    • 1985년 11월 1일: 원성동이 원성1동과 원성2동으로 분동되었다.
    • 1989년 1월 1일: 입장면 도하리가 성환읍에 편입되었다.
  • 1991~2000년대
    • 1991년 1월 1일: 천원군이 ‘천안군’으로 환원되었다.
    • 1994년 7월 1일: 성촌동이 성정1동과 성정2동으로 분동되었다.
    • 1995년 2월 20일: 쌍봉동이 봉명동과 쌍용동으로 분동되었다.
    • 1995년 5월 10일: 천안시와 천안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‘천안시’ 출범(2읍, 10면, 13동).
    • 1995년 8월 2일: 병천면 복다회리를 송정리로 개칭하였다.
    • 1996년 1월 1일: 쌍용동을 쌍용1동과 쌍용2동으로 분동하였다.
    • 1997년 10월 20일: 사직동·영성동·다가동·원성동·구성동 일부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.
    • 1999년 10월 11일: 대룡동과 남산동을 통합해 ‘중앙동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.
  • 2001년 이후
    • 2002년 1월 1일: 직산면과 목천면이 각각 읍으로 승격(4읍 8면 13동).
    • 2003년 8월 1일: 쌍용2동이 쌍용2동과 쌍용3동으로 분동(14동).
    • 2005년 9월 30일: 천안시청을 불당동으로 이전하였다.
    • 2006년 1월 10일: 쌍용3동이 쌍용3동과 백석동으로 분동(27개 읍면동).
    • 2007년 5월 28일: 신용동이 일봉동과 신방동으로 분동(28개 읍면동).
    • 2008년 6월 23일: 2개 일반구(동남구, 서북구) 설치 및 청사 개청.
    • 2013년 10월 14일: 백석동이 백석동·불당동으로, 부성동이 부성1동·부성2동으로 분동(2구 4읍 8면 18동).
    • 2021년 11월 15일: 불당동이 불당1동과 불당2동으로 분동되어 현재 2구 4읍 8면 19행정동 체제를 갖추었다.

※ 행정구역 이력 출처 [8]

교통

  • 철도
    • 경부고속선
      • 천안아산역(아산시 소재)
    • 경부선
      • 성환역
      • 천안역
      • 장항선
      • 천안역
    • 수도권 전철 1호선
      • 성환역
      • 직산역 - 급행은 정차하지 않는다.
      • 두정역
      • 천안역
      • 봉명역
      • 쌍용역
  • 도로[9]
    • 고속도로
      • 경부고속도로: 동천안 분기점, 목천IC, 천안IC, 북천안IC, 입장휴게소IC
      • 논산천안고속도로: 남풍세IC, 남천안IC
      • 당진청주고속도로: 서천안IC
    • 국도: 1번 국도, 21번 국도, 23번 국도, 34번 국도, 43번 국도
  • 버스
    • 천안종합버스터미널
    • 성환버스터미널
    • 관내 시외버스정류소: 쌍용동정류소, 병천정류소, 천안3공단정류소, 천안TG.단대.천안대 정류소
    • 시내버스 [10]
  • 인근 지역과의 연결
    • 서울·경기(평택·안성) : 경부고속도로, 국도1호선, 경부선 철도
    • 충북(청주·진천) : 국도34호선, 중부고속도로 연결
    • 아산 : 장항선, 국도21호선, 아산~천안고속도로
    • 공주·세종 : 천안논산고속도로, 국도23호선

주요 지명

  • 행정구역(현재): 2구 4읍 8면 19행정동
    • 구(2개): 동남구, 서북구
    • 읍(4개): 성환읍, 성거읍, 직산읍, 목천읍
    • 면(8개): 풍세면, 광덕면, 북면, 입장면, 수신면, 병천면, 동면, 성남면
    • 행정동(19개): 중앙동, 문성동, 원성1동, 원성2동, 봉명동, 성정1동, 성정2동, 쌍용1동, 쌍용2동, 쌍용3동, 백석동, 불당1동, 불당2동, 신방동, 청룡동, 신안동, 부성1동, 부성2동, 일봉동

농특산물

  • 농산물 : 천안 신고배, 천안 거봉포도, 천안 광덕호두, 블루베리, 천안 사과, 천안 오이, 수신멜론, 호랑이넝쿨콩, 아위버섯, 상황버섯, 친환경 토마토, 천안 버섯.
  • 축산물 : 능수한우, 포크빌, 향계촌(계란)
  • 가공식품 : 오미자, 천안 두레앙와인, 하늘그린 벌꿀, 천안 장류(보리고추장), 천안 도솔연미주, 천안 호두과자, 천안 병천순대, 천안 헛개나무차, 천안 김치, 배말린
  • 화훼류 : 천안 선인장, 야생화
  • 곡류 : 우리밀, 아우내 잡곡, 천안 흥타령쌀

※ 자료 출처 [11]

문화유산

  • 국보
    •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(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) [12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62.12.20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리 319-8
      • 시대 : 고려 현종 17년(1026)
  • 보물
    • 천안 천흥사지 당간지주 (天安 天興寺址 幢竿支柱) [13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63.01.21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4길 115-5 (천흥리)
      • 시대 : 고려시대
    • 천안 천흥사지 오층석탑 (天安 天興寺址 五層石塔) [14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63.01.21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 190-2번지
      • 시대 : 고려시대
    •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(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) [15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64.09.03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 산 28-1
      • 시대 : 고려시대
    • 안중근의사 유묵 - 사군천리망안욕천이표촌성행물부정 (安重根義士 遺墨 - 思君千里望眼欲穿以表寸誠幸勿負情) [16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72.08.16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
      • 시대 : 1910년
    • 이광악 선무공신교서 (李光岳 宣武功臣敎書) [17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88.06.16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(목천읍, 독립기념관)
      • 시대 : 조선 선조 37년(1604)
    • 박문수 초상(1994) (朴文秀 肖像) [18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94.01.05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429-13, 천안박물관 (삼룡동, 천안박물관)
      • 박문수(1691∼1756)는 조선 영조 때의 문신
    • 천안 광덕사 감역교지 (天安 廣德寺 減役敎旨) [19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97.06.12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(광덕리)
      • 시대 : 조선 세조 3년(1457년 8월 10일)
    •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(天安 廣德寺 朝鮮寫經) [20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97.06.12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(광덕리)
      • 시대 : 조선 초기(14∼15세기)
    •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(廣德寺 盧舍那佛 掛佛幀) [21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97.08.08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(광덕리)
      • 시대 : 조선 영조 25년(1749)
    • 김구 서명문 태극기 (金九 署名文 太極旗) [22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2021.10.25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독립기념관로 1 (목천읍, 독립기념관)
      • 시대 : 1941년
  • 사적
    •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 (天安 柳寬順 烈士 遺蹟) [23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72.10.14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338-1번지
      • 시대 : 근현대
    • 제5로 직봉 - 천안 대학산 봉수 유적 (第5路 直烽 - 天安 大鶴山 峰燧 遺蹟) [24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2023.11.22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 산 31-2 일원
      • 시대 : 조선시대
  • 천연기념물
    •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(天安 廣德寺 호두나무) [25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1998.12.23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(광덕리)
      • 연령 : 약 400년
    • 천안 양령리 향나무 (天安 兩令里 香나무) [26]
      • 지정(등록)일 : 2000.12.08
      • 소재지 :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상령길 122-15 (양령리)
      • 연령 : 약 800여 년

지역 이슈

  • 한국의 발견
    • '천안'이 편안하면 천하가 태평하다.
    • 새로운 교통의 요지
    • 태조봉 밑의 천안시
    • 산과 들이 고루 발달한 천원군
    • 농사일이 재미있는 천원군
    • 호도 과자와 개구리 참외
    • 공업 도시로 꾸미는 천안
    • 홍경사 터와 천흥사 터
    • "그대들 돌아오라 기다리던 망향의 동산"
    • 아오내 장날의 만세 운동
    • 천안 삼거리와 능수버들

참고 자료

  • 단행본
    • 뿌리깊은나무, 1986, 한국의 발견 - 충청남도.
  • 사이트
    • 아산학연구소 아카이브(DB) 플랫폼.[27]
  • 유투브
    • 병투브, 온천의 도시 충청남도 아산시는 어떤 곳일까? 자세하게 알아보자!. [28]

할일

  • todo)

문서 이력

  • 2025.10.28 : 진송옥, 문화역사지리현장조사2, 아산시 답사 계획서 작성.
  • 2025 : 김현종, 위 문서를 위키 형태로 전환.
  • 2025 : 김현종,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현위치 복원 지도 업로드.

각주

  1. 국토교통부,「지적통계」, 2024, 2025.09.22, 행정구역별・지목별 국토이용현황_시군구.[1]
  2. 통계청,「인구총조사」, 2024, 2025.09.22, 인구, 가구 및 주택 – 읍면동(연도 끝자리 0, 5), 시군구(그 외 연도).[2]
  3. 통계청(지역통계기획팀), 2021, 2025.09.22, GRDP(시/군/구).[3]
  4. 아산시. 수출입현황.[4]
  5. 충청남도 아산시, 충청남도아산시기본통계, 2023, 2025.09.23, 산업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.[5]
  6. [통계청,「인구총조사」, 2024, 2025.09.23, 연령 및 성별 인구 – 읍면동.[6]
  7. 아산시. 위치·자연환경.[7]
  8. 천안시. 천안시연혁.[8]
  9. 국토교통부, 전국표준노드링크[9]
  10. 천안교통정보센터 [10]
  11. 천안시. 농특산물홍보관 [11]
  12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12]
  13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13]
  14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14]
  15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15]
  16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16]
  17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17]
  18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18]
  19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19]
  20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20]
  21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 [21]
  22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22]
  23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23]
  24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24]
  25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25]
  26. 국가유산포. 우리지역 국가유산[2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