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대 교통로 DB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DB 개요
- DB 설명
- 1910년대 제작된 1:5만 조선지형도의 도로 정보를 GIS 데이터로 구축 (기존 성신여자대학교 GIS 연구사업에서 구축한 1·2등 도로 데이터를 기초 레이어로 참조)
- 라인 벡터 데이터에 Tobler(1993), Kondo&Seino(2010)에서 발표된 보행 속도 함수를 적용하여 비등방 경로 분석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축한 네트워크 데이터셋
- 2025년 9월 시점 데이터 구축 상황 : 1910년대 조선지형도의 경기, 충청도, 경상도 내 1·2등 도로, 달로, 연로 등급까지 디지타이징 후 네트워크 데이터셋 가공 완료
- DB 구축자
- DB 설계 : 양정현
- DB 구축 : 양정현
- 데이터 검수 : 김종혁, 김현종, 박선영, 최유식
- 자료 공개
- 비영리적 활동(논문, 연구서)에 본 자료 사용시, 인용 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.
- 영리적인 목적(프로젝트)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(yachagye@naver.com)와 상의 후 처리.
-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.
-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, yachagye@naver.com에 오류 신고.
- 인용 표기 : 1910년대 한반도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셋, 202X년 X월 기준, 양정현, 역지사지(https://www.hisgeo.info).
공간 데이터
- 데이터 구성
- 압축 해제 후 파일명: 도로_1914.gdb
- 하위 경로: 도로_1914.gdb / 도로_1914_5179(피처 데이터셋) / 도로_1914_10m_5179_20250831 ; 도로_1914_nd ; 도로_1914_nd_Junctions
- 도로 라인 피처: 도로_1914_10m_5179_20250831
- 네트워크 데이터셋: 도로_1914_nd
- 정션: 도로_1914_nd_Junctions
- 다운로드 링크(구글 드라이브)
필드 설계
필드명 | 의미 | 단위 | 타입 |
---|---|---|---|
length_3d | 3D 길이(표면거리) | m | DOUBLE |
length_3dkm | 3D 길이 | km | DOUBLE |
grade_f | 구배(From→To) | 무차원 | DOUBLE |
grade_b | 구배(To→From) | 무차원 | DOUBLE |
sp_tob_f | 토블러 속도 (From→To) | km/h | DOUBLE |
sp_tob_b | 토블러 속도 (To→From) | km/h | DOUBLE |
sp_ks_f | 콘도·세이노 속도 (From→To) | km/h | DOUBLE |
sp_ks_b | 콘도·세이노 속도 (To→From) | km/h | DOUBLE |
hr_tob_f | 토블러 소요시간 (From→To) | hr | DOUBLE |
hr_tob_b | 토블러 소요시간 (To→From) | hr | DOUBLE |
hr_ks_f | 콘도·세이노 소요시간 (From→To) | hr | DOUBLE |
hr_ks_b | 콘도·세이노 소요시간 (To→From) | hr | DOUBLE |
kcal_ks_f | 소요 칼로리 (From→To, KS) | kcal/kg | DOUBLE |
kcal_ks_b | 소요 칼로리 (To→From, KS) | kcal/kg | DOUBLE |
kcal_tob_f | 소요 칼로리 (From→To, Tobler) | kcal/kg | DOUBLE |
kcal_tob_b | 소요 칼로리 (To→From, Tobler) | kcal/kg | DOUBLE |
ID | 수상 영역 | - | TEXT |
네트워크 데이터셋 기반 경로 분석 파이프라인(ArcGIS Pro 3.0 이후 버전 기준)
- 개요
- 비대칭(asymmetric) 비용 그래프: 라인 네트워크 데이터셋에 비용 속성과 평가기를 설정하고 각 세그먼트에 대해 이동 방향(Along/Against)에 따른 비용 속성을 참조하도록 정의
- 비용 속성
- Tobler(1993) 및 Kondo–Seino(2010)의 보행 속도 함수를 적용한 구간별 이동 시간 값
- 이동 방향에 따른 경사각의 반전(오르막과 내리막)을 구분하여 정방향과 역방향 필드로 구성
-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
- 지형도의 도로 선 디지타이징을 통해 라인 데이터 표출
- 라인 데이터 분할
- 라인 위에 포인트 생성하기
- '라인을 따라 포인트 생성(Generate Points Along Lines)' 도구 사용
- 예: 간격 1m, 결과 피처를 포인트로 저장
- 분할하기
- 'Split Line at Point' 도구 사용 (Data Management Tools → Features)
- 검색 반경 예: 1mm
- 라인 위에 포인트 생성하기
- 투영(Project)=좌표계 변환
- DEM (SRTM Arc1): Project Raster → EPSG:5179, Resampling=Bilinear
- 네트워크 라인: Project → EPSG:5179
- XY, Z 모두 미터 단위 일치 필요
- 라인에 Z 값 보간 (3D 라인 만들기)
- 3D Analyst → Interpolate Shape 사용
- Input Surface=DEM, Output=Z 값 포함 라인
- 표면거리 필드 생성 (3D 길이)
- Calculate Geometry로 `length_3d` 생성
- `length_3dkm = !length_3d!/1000.0`
- QA: `length_3d >= Shape_Length`
- 평면거리(2D 길이) 확인
- ArcGIS 기본 `Shape_Length` 사용
- QA: `Shape_Length > 0`
- 구배(Grade) 계산
- 필드: `grade_f`, `grade_b`
- 간단식
- `grade_f = (Z_to - Z_from) / Shape_Length`
- `grade_b = -grade_f`
- 속도(sp)/시간(hr) 계산
- 속도 함수: Tobler, Kondo–Seino
- 시간 계산: `hours(len_m, v_kmh)`
- 필드: `sp_*`, `hr_*` (f/b)
- 이동 소모 칼로리(kcal/kg) 계산
- ACSM 함수 기반
- 내리막 보정: λ=0.5 적용
- `kcal/kg = MET × 시간(hr)`
- 수상 영역 보정
- 바다/하천: 속도 고정(5.0 / 1.2 km/h), kcal=0
- 네트워크 데이터셋 설정 (Cost Attribute)
- Network Dataset 생성
- Cost Attribute 추가
- hour_tob, hour_ks, Length_3d, kcal_ks, kcal_tob
- 각 Along/Against에 f/b 필드 매핑
- Build Network
- 경로 분석 실행 및 임피던스/비용 누적 설정
참고 문헌
- 양정현, 2023, HGIS를 통해 본 조선 전기 양주의 도로 체계와 역사적 경로 재현 - 양주 회암사의 사례를 중심으로, 남도문화연구 50
- 양정현, 2024,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-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, 문화역사지리 36-3
메모
- todo: 2차 및 3차 지형도의 도로 등급 반영 후 네트워크 데이터셋에 계층 속성 추가
DB 변화 이력
- 2025년 09월 03일 : 최초 공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