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지사지(歷地思之) - 역사지리정보(HGIS) 위키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DB 개요
- DB 설명
- 조선시대 행정구역 및 치소의 연단위 변화 이력 및 공간 복원 레이어
- 행정구역 변화 이력에 관한 근거 명시
- DB 구축자
- DB 설계 : 김현종
- 행정구역 이력 DB 구축 : 김현종
- 치소 이력 DB 구축 : 김종혁
- 이력 및 공간 데이터 검수 : 김종혁, 양정현, 박선영, 최유식
- 참조 자료
-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
- 성신여자대학교 행정구역 복원 사업
-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적 행정구역
- 한국학중앙연구원 실록위키
- 자료 공개
- 비영리적 활동(논문, 연구서)에 본 자료 사용시, 인용문구만 표시하면 사용에 제한 없음.
- 영리적인 목적(프로젝트)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관계자(unqtsi@gmail.com)와 상의 후 처리.
- 본 자료 전체를 다른 곳에서 서비스하는 것은 제한함.
- 본 DB에 오류가 발견된 경우, unqtsi@gmail.com에 오류 신고.
- 인용 표기 : 「조선시대 행정구역 DB」, 202X년 X월 기준, 역지사지(https://www.hisgeo.info).
DB 목록(★new)
DB 구축 원칙
- 역사적 행정구역 개체 단위의 정의
- 행정구역 변화 이력의 기준
- 읍치 변화 이력의 기준
- 제외 사항
- 군사 권역(진관체계)의 변화
- 면 단위 이하의 변화
DB 구축 과정
- 조선시대 행정구역 이력 DB 구축
- 세종실록지리지는 1432년 기준으로 군현이 작성되었으나, 북방 지역(4군 6진)은 1454년 기준으로 작성됨
- 자료원 코드 's1432'는 특정 시점의 연도가 아니라 자료 중심으로 복원함
- 조선시대 행정구역 시계열 공간 DB 구축
-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적 행정구역 중 1910년대 GIS 레이어 활용
- 1906년 월경지 정리령 반영
- 도서 소속 변화 반영 : 1910년 군현 단위 소속 도서를 기준, 일부 도서 단위 소속 변화 반영
- GIS 구축 예외 사항
- 영역 복원이 어려운 경우(조선 초기)에는 중심지 부근에 원형 폴리곤으로 구축
- 영역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폴리곤의 경우 복원 메모에 "영역복원안됨"을 기입
- 영역 변화에 어려움이 있으나, 일단 폴리곤으로 구축한 경우 복원 메모에 "임시복원"을 기입
DB 설계
행정구역 변화 유형
이력 근거 자료
| 우선순위 |
자료코드 |
유형 |
명칭 |
비고
|
| 1 |
실록 |
연대기 |
조선왕조실록 |
수록시기:1392(태조1)-1863(철종14)
|
| 2 |
승정원 |
연대기 |
승정원일기 |
수록시기:1623(인조1)-1894년(고종31)
|
| 3 |
비변사 |
연대기 |
비변사등록 |
수록시기:1623(인조1)-1910(순종4)
|
| 4 |
법령 |
법령 |
근대 법령 |
제작시기:1897(광무1)-1914
|
| 5 |
세종 |
관찬지리지 |
세종실록지리지 |
제작시기:1454(단종2)
|
| 6 |
신증 |
관찬지리지 |
신증동국여지승람 |
제작시기:1530(중종25)
|
| 7 |
여지 |
관찬지리지 |
여지도서 |
제작시기:1757(영조33)∼1765(영조41)
|
| 8 |
대동 |
사찬지리지 |
대동지지 |
제작시기:1861(철종12)~1866(고종3)
|
| 9 |
증보 |
관찬지리지 |
증보문헌비고 |
제작시기:1907(융희1)
|
| 10 |
읍지 |
관찬지리지/사찬지리지 |
읍지 |
제작시기:조선
|
| 11 |
민백 |
백과사전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|
-
|
| 12 |
조향 |
백과사전 |
조선향토백과 |
-
|
| 13 |
향문 |
디지털백과사전 |
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|
-
|
| 14 |
관청 |
시군청홈페이지 |
시군청홈페이지 |
-
|
| 15 |
<참조문헌> |
기타 |
<참조문헌> |
문헌 자료
|
| 16 |
<그외자료> |
기타 |
<그외자료> |
그외 자료
|
| 17 |
<기준> |
특수 |
<기준> |
1392(태조1).07.17/1914.02.28(양)
|
| 18 |
<추정> |
특수 |
<추정> |
정황상 추정
|
DB 변화 이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