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지사지(歷地思之) - 역사지리정보(HGIS) 위키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역사사지 DB 구축 원칙
- 역지사지 회원은 연구 완료된(논문 게재된) 성과물은 가능한 '역지사지 DB'에 탑재한다.
- 역지사지 회원 외에 구축된 역사지리 DB는 운영위원회 검토 후 탑재한다.
- 우선 DB 구축 대상은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의 지명과 기호를 대상으로 한다.
- 역지사지 이름으로 배포되는 DB 중 현위치 비정 정보는 전수 검토 이후 공개한다.
- DB 구축시 사용된 원본 문헌 출처를 반드시 밝히고, 가능한 2차 자료는 사용하지 않는다.
역사사지 DB 구축 계획
| 대표편목 |
대동지지 |
대동여지도 |
구축현황 |
참조_피쳐수 |
비고
|
| 읍치 |
01_읍치 |
02_기호→읍치 |
★역지사지_구축중(2024) |
335 |
대동여지도는 무성, 유성 구분
|
| 건치연혁 |
02_연혁 |
<none> |
★역지사지_구축중(2024) |
- |
행정구역 이력 DB와 구축시 검토
|
| 읍호 |
03_연혁→읍호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관원 |
04_연혁→관원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고읍 |
05_고읍 |
11_기호→고현 |
☆예정(2025) |
322 |
대동여지도는 구읍지유성, 무성, 유성 구분
|
| 방면 |
06_방면 |
10_기호→방리 |
◎김종혁_토대사업(2014)→☆예정(2025) |
184 |
-
|
| 산 |
07_산수→(산) |
15_지명→산 |
☆예정(2025) |
2987 |
-
|
| 산지지형 |
08_산수→(산지지형) |
16_지명→산지지형 |
☆예정(2025) |
161 |
-
|
| 평야 |
09_산수→(평야) |
17_지명→평야 |
☆예정(2025) |
21 |
-
|
| 영로 |
10_산수→영로 |
18_지명→고개 |
◎김현종_고개논문(2024)→예정(2025) |
1359 |
-
|
| 하천 |
11_산수→(하천) |
19_지명→하천 |
☆예정(2025) |
845 |
-
|
| 호수 |
12_산수→(호수) |
20_지명→호수 |
☆예정(2025) |
64 |
-
|
| 하천지형 |
13_산수→(하천지형) |
21_지명→하천지형 |
☆예정(2025) |
286 |
-
|
| 해안지형 |
14_산수→(해안지형) |
22_지명→해안지형 |
☆예정(2025) |
121 |
|
| 도서 |
15_산수→도서 |
23_지명→도서 |
☆예정(2025) |
899 |
-
|
| 형승 |
16_형승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성지 |
17_성지 |
03_기호→성지 |
☆예정(2025) |
129 |
대동여지도는 관성과 산성 구분
|
| 성지 |
18_성지→고산성 |
13_기호→고산성 |
☆예정(2025) |
544 |
-
|
| 영아 |
19_영아 |
01_기호→영아 |
☆예정(2025) |
10 |
-
|
| 진보 |
20_진보 |
04_기호→진보 |
☆예정(2025) |
221 |
대동여지도는 무성, 유성 구분
|
| 진보 |
21_진보→(파수) |
24_지명→파수 |
☆예정(2025) |
15 |
대동여지도 지도표에는 없지만 지도에 있는 기호
|
| 고진보 |
22_진보→혁폐 |
12_기호→고진보 |
☆예정(2025) |
171 |
대동여지도는 무성, 유성 구분
|
| 봉수 |
23_봉수 |
08_기호→봉수 |
☆예정(2025) |
609 |
-
|
| 창고 |
24_창고 |
06_기호→창고 |
☆예정(2025) |
866 |
대동여지도는 무성, 유성 구분
|
| 역참 |
25_역참 |
05_기호→역참 |
◎양정현_역제논문(2021)→예정(2025) |
524 |
-
|
| 진도 |
26_진도 |
25_지명→나루 |
☆예정(2025) |
156 |
-
|
| 교량 |
27_교량 |
26_지명→교량 |
☆예정(2025) |
2 |
-
|
| 목장 |
28_목장 |
07_기호→목소 |
☆예정(2025) |
97 |
대동여지도는 일반과 속장 구분
|
| 고목장 |
29_목장->폐장 |
<none> |
<none> |
- |
대동여지도에도 일부 고목장 있음
|
| 토산 |
30_토산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장시 |
31_토산→장시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궁실 |
32_궁실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공해 |
33_궁실→공해 |
<none> |
<none> |
- |
대동지지 일부 군현 공해 항목이 있음
|
| 누정 |
34_누정 |
27_지명→누정 |
☆예정(2025) |
45 |
-
|
| 묘전 |
35_묘전(廟殿)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능침 |
36_능침 |
09_기호→능침 |
☆예정(2025) |
28 |
-
|
| 단유 |
37_단유(壇壝)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사원 |
38_사원(祠院) |
<none> |
<none> |
- |
대동지지는 사액 위주로 수록
|
| 전고 |
39_전고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강역 |
40_강역표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전답 |
41_전민표→전답 |
<none> |
<none> |
- |
대동지지 간혹 수전과 한전 구분 있음
|
| 호구 |
42_전민표→호구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인구 |
43_전민표→민호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군보 |
44_전민표→군보 |
<none> |
<none> |
- |
-
|
| 촌락 |
<none> |
28_지명→촌락 |
◇후보(XXXX) |
716 |
-
|
| 촌락→발참 |
<none> |
29_지명→발참 |
◇후보(XXXX) |
4 |
발참은 일단 촌락 이하로 분류
|
| 촌락→주막 |
<none> |
30_지명→주막 |
◇후보(XXXX) |
33 |
주막은 일단 촌락 이하로 분류
|
| 촌락→포구 |
<none> |
31_지명→포구 |
◇후보(XXXX) |
265 |
포구는 일단 촌락 이하로 분류
|
| 사찰 |
<none> |
32_지명→사찰 |
◇후보(XXXX) |
221 |
|
| 건축물 |
<none> |
33_지명→건축물 |
◇후보(XXXX) |
11 |
|
| 탑비 |
<none> |
34_지명→탑비 |
◇후보(XXXX) |
9 |
탑비는 건축물과 구별함
|
| 월경지 |
<none> |
35_지명→월경지 |
◇후보(XXXX) |
64 |
-
|
| 주기 |
<none> |
36_지명→주기 |
<none> |
13 |
대동여지도 내 주기
|
| 기타 |
<none> |
37_지명→기타 |
<none> |
492 |
미분류 된 지명
|
| 행정경계 |
<none> |
38_도형→행정경계 |
◎김현종_경계논문(2021)→☆예정(2025) |
- |
-
|
| 산줄기 |
<none> |
39_도형→산줄기 |
◎박선영_산경표논문(2022)→☆예정(2025) |
- |
-
|
| 물줄기 |
<none> |
40_도형→물줄기 |
☆예정(2025) |
- |
-
|
| 도로 |
<none> |
41_도형→도로 |
◎김현종_도로논문(2023)→☆예정(2025) |
- |
도로는 대동여지도 지도표에 기호 표시됨
|
| 해안선 |
<none> |
42_도형→해안선 |
◎김현종_경계논문(2021)→☆예정(2025) |
- |
-
|
일러두기
- 구축 상황 범례 : ◎ : 연구 완료, ★ : 구축중, ☆ 구축 예정 : ◇ : 구축 후보
- 참조_피쳐수는 대동여지도의 지명 및 시설 합계임
- 대동여지도 지명 및 시설의 개수(합집합) : 12821개
- 대동여지도 현위치 비정안된 개수 : 1625개
- 대동여지도 현위치 비정 재검수 대상 : 7019개, 이중 945개는 긴급 검수대상
- 읍치(이동 포함) 현위치 비정 개수 : 396개/(추정)592개
논의점
- todo : 운영 : 한국저작권협회에 DB 저작권 등록 방안 논의한다.
- todo : 운영 : 역지사지 세미나 회원이 아닌 외부 인원의 DB 등록 방안 논의한다.
- todo : 운영 : GIS 레이어를 다시 가공해 배포하는 것을 허용할 것인지 검토한다.
- todo : 주제 : 조선시대 군산 DB 구축(병영, 수영, 진관, 거진, 독진, 진보)(→협조 요청 완료)
- todo : 주제 : 도성 지도 DB 구축 방안
- todo : 주제 : 지리지 읍지 목록(판본) + 원본 URL(→협조 요청 완료)
- todo : 주제 : 고지도 목록 + 원본 URL(→협조 요청 완료)
- todo : 주제 : 중국, 한국 접경 수계(→협조 요청 완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