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역사GIS 서비스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30번째 줄: | 30번째 줄: | ||
=== 연구팀 === | === 연구팀 === | ||
* 영국 랭커스터 대학, 공간 인문학. [https://www.lancaster.ac.uk/fass/projects/spatialhum.wordpress/] | * 영국 랭커스터 대학, 공간 인문학. [https://www.lancaster.ac.uk/fass/projects/spatialhum.wordpress/] | ||
+ | |||
+ | === 근대지도 디지털 아카이브 === | ||
+ | *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, 소장지도 데이터베이스. [https://lapis.nichibun.ac.jp/chizu/index.html] | ||
+ | * 조선총독부박물관문서, 지도. [https://www.museum.go.kr/modern-history/map.do] |
2025년 10월 6일 (월) 21:44 판
국내 역사 GIS 서비스
고려
- 국사편찬위원회, 개경지리정보. [1]
조선~대한제국
- 고려대, 민족문화연구원,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. [2]
- 서울대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역사지리정보서비스. [3]
-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적행정구역 : 1910~1945년(2022년 12월 기준) [4]
- 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학자료포털, 고지도. [5]
- 국토지리정보원, 국토정보맵, 역사지도, 대동여지도. [6]
근대
플랫폼
-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 [9]
디지털인문학과 공간
해외 역사 GIS 서비스
연구 프로젝트
- 미국 하버드대, 중국 역사 GIS. [12]
- 영국 포츠머스대, A Vision of Britain through Time [13]
- 일본 대학공동이용기관법인 인간문화연구기구, 역사지명 데이타. [14]
- 영국 랭커스터 대학, Mapping the Lakes: A Literary GIS. [15]
연구팀
- 영국 랭커스터 대학, 공간 인문학. [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