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역사GIS 서비스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역지사지(歷地思之) - 역사지리정보(HGIS) 위키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 
(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)
1번째 줄: 1번째 줄:
== 고려 ==
+
== 고지도, 근대지도 디지털 아카이브 ==
 +
=== 국내 디지털 아카이브 ===
 +
* 경기도메모리 디지털 아카이브, 지도. [https://memory.library.kr/regions]
 +
* 고려대학교, 박물관, 고지도 컬렉션. [https://library.korea.ac.kr/oldmap/]
 +
* 고려대학교, 해외한국학자료센터, 지리서. [http://kostma.korea.ac.kr/dir/list?dirType=cen&dirCode=03]
 +
* 국가기록원, 내고향 역사 알기, 내고향 옛지도. [https://theme.archives.go.kr/next/oldhome/map/viewMapK.do]
 +
* 국립중앙도서관, 조선총독부박물관문서, 지도. [https://www.museum.go.kr/modern-history/map.do]
 +
* 국사편찬위원회, 한국고지도목록(목록만). [https://db.history.go.kr/joseon/level.do?levelId=om_001]
 +
* 국토지리정보원, 대동여지도(지명비정포함). [https://map.ngii.go.kr/ms/map/NlipMap.do?tabGb=daedong]
 +
* 국토지리정보원, 국립지도박물관. [https://www.ngii.go.kr/map/board/list.do?board_code=antique_map&srchCate=A]
 +
* 동북아역사재단, 동아시아 고지도컬렉션. [http://contents.nahf.or.kr/oldmap/]
 +
* 서울공예박물관, 소장품, 지도. [https://craftmuseum.seoul.go.kr/search/collection_materials/1]
 +
* 서울대학교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고지도. [https://kyudb.snu.ac.kr/main.do?mid=GZD]
 +
* 서울역사박물관, 서울역사아카이브, 서울지도. [https://museum.seoul.go.kr/archive/seoulMap/seoulMapBsnsIntrcn.jsp]
 +
* 위키피디아, 부군면통폐합지도. [https://commons.wikimedia.org/wiki/Category:%EB%B6%80%EA%B5%B0%EB%A9%B4_%ED%86%B5%ED%8F%90%ED%95%A9?uselang=ko]
 +
* 종로도서관, 고문헌검색시스템 [https://jnliboldbook.sen.go.kr/web.do]
 +
* 한국학중앙연구원, 장서각위키, 지도. [https://dh.aks.ac.kr/jsg/index.php/%EB%B6%84%EB%A5%98:%EB%8F%84(%E5%9C%96)]
 +
* 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학자료포털, 동여도. [https://kostma.aks.ac.kr/e-map/mapSearch_AN.aspx?lang=ko&mType=anciNm&sType=anSearch&sWord=]
 +
* MapCode, 지도 옥션. [https://www.mapcode.co.kr/]
 +
todo)국립중앙도서관에 고지도 컬렉션이 있었는데 사라짐. 찾아볼 것.
 +
 
 +
=== 해외 디지털 아카이브 ===
 +
* 중국, 고금문자집성, 중국역사지도집(담기양). [http://ccamc.org/chinese_historical_map/index.php]
 +
* 일본,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, 소장지도 데이터베이스. [https://lapis.nichibun.ac.jp/chizu/index.html]
 +
* 미국, 국회도서관, 지리 및 지도 컬렉션. [https://www.loc.gov/research-centers/geography-and-map/about-this-research-center/]
 +
* 미국, 텍사스대, Perry-Castañeda Library, 지도컬렉션 중 한국. [https://maps.lib.utexas.edu/maps/korea.html]
 +
* 미국, 하버드대, 지도컬렉션. [https://library.harvard.edu/libraries/harvard-map-collection]
 +
* 미국, 데이비드 램지(David Rumsey) 역사지도 컬렉션. [https://www.davidrumsey.com/]
 +
* 미국, 뉴욕 공립 도서관 디지털 맵 갤러리. [https://www.nypl.org/collections/nypl-recommendations/guides/mapgalleries]
 +
* 미국, USGS, 역사 지형도 검색. [https://livingatlas.arcgis.com/topomapexplorer/index.html#maps=&loc=-98.54,40.15&LoD=4.00]
 +
* 프랑스, 국립 도서관, 갈리카(Gallica), 지도 컬렉션 [https://gallica.bnf.fr/services/engine/search/sru?operation=searchRetrieve&exactSearch=false&collapsing=true&version=1.2&query=(dc.type%20all%20%22carte%22)&suggest=10&keywords=]
 +
* 전세계, Oldmaps Online. [https://www.oldmapsonline.org/en#position=6/37.566/126.978]
 +
todo)일본 외방도 서비스 사이트 정리해야함.
 +
 
 +
== 국내 지리지 서비스 ==
 +
* 국립중앙도서관, 디지털컬렉션, 지리지. [https://www.nl.go.kr/NL/contents/N20103000000.do?schM=contList&schOpt1=CA0000000001&schOpt2=CA0000000052&schOpt5=CA0000000001]
 +
* 서울대학교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지리지 종합정보. [https://kyujanggak.snu.ac.kr/geo/main/main.jsp]
 +
 
 +
== 국내 역사 GIS 서비스 ==
 +
=== 고려 ===
 
* 국사편찬위원회, 개경지리정보.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kor_g1/main.do]
 
* 국사편찬위원회, 개경지리정보.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kor_g1/main.do]
  
== 조선~대한제국 ==
+
=== 조선~대한제국 ===
 
* 고려대, 민족문화연구원,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. [http://www.atlaskorea.org]
 
* 고려대, 민족문화연구원,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. [http://www.atlaskorea.org]
 
* 서울대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역사지리정보서비스. [http://kyuhgis.snu.ac.kr/]
 
* 서울대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역사지리정보서비스. [http://kyuhgis.snu.ac.kr/]
 
*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적행정구역 : 1910~1945년(2022년 12월 기준)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pro_g1/gis/gisPage.do]  
 
*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적행정구역 : 1910~1945년(2022년 12월 기준)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pro_g1/gis/gisPage.do]  
 
* 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학자료포털, 고지도. [https://kostma.aks.ac.kr/e-map/mapSearch_AN.aspx?lang=ko&mType=anciNm&sType=anSearch&sWord=]
 
* 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학자료포털, 고지도. [https://kostma.aks.ac.kr/e-map/mapSearch_AN.aspx?lang=ko&mType=anciNm&sType=anSearch&sWord=]
 +
* 국토지리정보원, 국토정보맵, 역사지도, 대동여지도. [http://map.ngii.go.kr/ms/map/NlipMap.do?tabGb=daedong]
  
== 근대 ==  
+
=== 근대 ===
 
* 국사편찬위원회, 근대지리정보.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mod_g1/main.do]
 
* 국사편찬위원회, 근대지리정보.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mod_g1/main.do]
 
* 국사편찬위원회, 삼일운동데이타베이스, GIS서비스. [https://db.history.go.kr/samil/home/gis/gis_viewer.do]
 
* 국사편찬위원회, 삼일운동데이타베이스, GIS서비스. [https://db.history.go.kr/samil/home/gis/gis_viewer.do]
  
== 플랫폼 ==
+
=== 플랫폼 ===
 
*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pro_g1/mainPage.do]
 
*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 [https://db.history.go.kr/hgis/pro_g1/mainPage.do]
 +
 +
=== 디지털인문학과 공간 ===
 +
* 지암일기, 데이터로 다시 읽는 조선시대 양반의 생활, 장소 시각화. [https://jiamdiary.info/viz/place/]
 +
* 목포시,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, 3D 지도 [https://encyves.aks.ac.kr/%EB%AA%A9%ED%8F%AC/Web/tour/map.html]
 +
 +
=== 대형 연구사업 ===
 +
* 고려대학교,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. [http://www.atlaskorea.org/historymap.web/IdxRoot.do]
 +
*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지리정보 DB. [https://hgis.history.go.kr/pro_g1/mainPage.do]
 +
*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역사지리정보 서비스. [http://kyuhgis.snu.ac.kr/]
 +
* 고려대학교, HGIS기반 조선시대 역사지도. [http://waks.aks.ac.kr/rsh/?rshID=AKS-2017-KFR-1230001]
 +
* 성신여자대학교, 조선시대 수륙교통로. [http://waks.aks.ac.kr/rsh/?rshID=AKS-2014-KFR-1230005]
 +
* 고려대학교,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. [http://waks.aks.ac.kr/rsh/?rshID=AKS-2011-EBZ-3105]
 +
 +
=== 개인 연구 ===
 +
* 주성지, 최부의 표해록, [http://histopia.net 히스토피아]. [http://histopia.net/xe/pyohaerok]
 +
* 주성지, 입당구법순례행기, [http://histopia.net 히스토피아]. [http://histopia.net/xe/ennin]
 +
* 만주국농업이민, : [http://histopia.net/xe/manju 히스토피아]. [http://histopia.net/xe/manju]
 +
* 주성지, 만주지역철도, [http://histopia.net 히스토피아]. [http://histopia.net/xe/rail]
 +
* 주성지, 조선지역철도, [http://histopia.net 히스토피아]. [http://histopia.net/xe/railKor]
 +
* 주성지, 경성전차노선, [http://histopia.net 히스토피아]. [http://histopia.net/xe/elecRail]
 +
 +
== 해외 역사 GIS 서비스 ==
 +
=== 연구 프로젝트 ===
 +
* 미국 하버드대, 중국 역사 GIS. [https://chgis.fas.harvard.edu]
 +
* 영국 포츠머스대, A Vision of Britain through Time [http://www.visionofbritain.org.uk ]
 +
* 일본 대학공동이용기관법인 인간문화연구기구,  역사지명 데이타. [https://www.nihu.jp/ja/publication/source_map]
 +
* 영국 랭커스터 대학, Mapping the Lakes: A Literary GIS. [https://www.lancaster.ac.uk/mappingthelakes/]
 +
 +
=== 연구팀 ===
 +
* 영국 랭커스터 대학, 공간 인문학. [https://www.lancaster.ac.uk/fass/projects/spatialhum.wordpress/]

2025년 10월 6일 (월) 22:57 기준 최신판

고지도, 근대지도 디지털 아카이브

국내 디지털 아카이브

  • 경기도메모리 디지털 아카이브, 지도. [1]
  • 고려대학교, 박물관, 고지도 컬렉션. [2]
  • 고려대학교, 해외한국학자료센터, 지리서. [3]
  • 국가기록원, 내고향 역사 알기, 내고향 옛지도. [4]
  • 국립중앙도서관, 조선총독부박물관문서, 지도. [5]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한국고지도목록(목록만). [6]
  • 국토지리정보원, 대동여지도(지명비정포함). [7]
  • 국토지리정보원, 국립지도박물관. [8]
  • 동북아역사재단, 동아시아 고지도컬렉션. [9]
  • 서울공예박물관, 소장품, 지도. [10]
  • 서울대학교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고지도. [11]
  • 서울역사박물관, 서울역사아카이브, 서울지도. [12]
  • 위키피디아, 부군면통폐합지도. [13]
  • 종로도서관, 고문헌검색시스템 [14]
  • 한국학중앙연구원, 장서각위키, 지도. [15]
  • 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학자료포털, 동여도. [16]
  • MapCode, 지도 옥션. [17]
todo)국립중앙도서관에 고지도 컬렉션이 있었는데 사라짐. 찾아볼 것.

해외 디지털 아카이브

  • 중국, 고금문자집성, 중국역사지도집(담기양). [18]
  • 일본,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, 소장지도 데이터베이스. [19]
  • 미국, 국회도서관, 지리 및 지도 컬렉션. [20]
  • 미국, 텍사스대, Perry-Castañeda Library, 지도컬렉션 중 한국. [21]
  • 미국, 하버드대, 지도컬렉션. [22]
  • 미국, 데이비드 램지(David Rumsey) 역사지도 컬렉션. [23]
  • 미국, 뉴욕 공립 도서관 디지털 맵 갤러리. [24]
  • 미국, USGS, 역사 지형도 검색. [25]
  • 프랑스, 국립 도서관, 갈리카(Gallica), 지도 컬렉션 [26]
  • 전세계, Oldmaps Online. [27]
todo)일본 외방도 서비스 사이트 정리해야함.

국내 지리지 서비스

  • 국립중앙도서관, 디지털컬렉션, 지리지. [28]
  • 서울대학교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지리지 종합정보. [29]

국내 역사 GIS 서비스

고려
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개경지리정보. [30]

조선~대한제국

  • 고려대, 민족문화연구원,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. [31]
  • 서울대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역사지리정보서비스. [32]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적행정구역 : 1910~1945년(2022년 12월 기준) [33]
  • 한국학중앙연구원, 한국학자료포털, 고지도. [34]
  • 국토지리정보원, 국토정보맵, 역사지도, 대동여지도. [35]

근대
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근대지리정보. [36]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삼일운동데이타베이스, GIS서비스. [37]

플랫폼
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 [38]

디지털인문학과 공간

  • 지암일기, 데이터로 다시 읽는 조선시대 양반의 생활, 장소 시각화. [39]
  • 목포시,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근대문화자산 아카이브, 3D 지도 [40]

대형 연구사업

  • 고려대학교,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. [41]
  • 국사편찬위원회, 역사지리정보 DB. [42]
  •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역사지리정보 서비스. [43]
  • 고려대학교, HGIS기반 조선시대 역사지도. [44]
  • 성신여자대학교, 조선시대 수륙교통로. [45]
  • 고려대학교,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. [46]

개인 연구

해외 역사 GIS 서비스

연구 프로젝트

  • 미국 하버드대, 중국 역사 GIS. [53]
  • 영국 포츠머스대, A Vision of Britain through Time [54]
  • 일본 대학공동이용기관법인 인간문화연구기구, 역사지명 데이타. [55]
  • 영국 랭커스터 대학, Mapping the Lakes: A Literary GIS. [56]

연구팀

  • 영국 랭커스터 대학, 공간 인문학. [5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