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충청 직산 염고현(조선)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역지사지(歷地思之) - 역사지리정보(HGIS) 위키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(새 문서: == 표기 == * 대동여지도 : 鹽高峴 * 동여도 : 鹽高峴 * 대동지지 : 鹽高峴, 北十里, 稷山界, 通京, 대로(大路) * 해동지도 : ** 직산 : 망일봉(望...)
 
(차이 없음)

2025년 10월 29일 (수) 21:46 기준 최신판

표기

  • 대동여지도 : 鹽高峴
  • 동여도 : 鹽高峴
  • 대동지지 : 鹽高峴, 北十里, 稷山界, 通京, 대로(大路)
  • 해동지도 :
    • 직산 : 망일봉(望日峯)과 갑치(甲峙) 사이에 직산에서 천안으로 가는 길 표시
    • 천안 : 신은역에서 북쪽으로 가는 길이 두 갈래임. 서쪽은 입안산과 여태산(鴽▣산) 사이의 길. 동쪽 길의 쌍쟁생(雙長栍)은 대동여지도의 병장승우와 같다고 판단.
  • 고전종합DB : 대동지지 외 검색 결과 없음.
  • 규장각원문DB : 검색 결과 없음.

현위치 비정

  • 달북재, 현고산(懸鼓山) : 부대동과 신당동 경계의 산, 높이 120m, 고려 태조가 이곳에 북을 달아 놓고, 군사를 훈련하여 삼한을 통일하였다고 함(한국지명총람)
  • 3차지형도 : 역지사지 행정구역 복원본에 의하면 직산과 천안 경계를 지나는 대로에는 고개지형이 없음.
달북재는 염고현으로 추정.
염고(鹽高峴) 뜻 자체로 소금을 쌓아놓은 듯 높은 고개를 의미할 수도 있음.
아니면, 懸->鹽의 오기, 鼓->高의 발음이 같으므로 필사 시 오류 가능성 있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