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충청 아산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(→할일) |
(→참고 자료) |
||
(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) | |||
14번째 줄: | 14번째 줄: | ||
== 지역 개요 == | == 지역 개요 == | ||
* 위치 : 아산시는 충청남도 북쪽 끝에 위치한 시로서,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, 서쪽으로는 천안시, 남쪽으로는 공주시, 서남쪽으로 예산군, 서쪽으로 당진시(이상 충청남도)와 맞닿아 있음. | * 위치 : 아산시는 충청남도 북쪽 끝에 위치한 시로서,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, 서쪽으로는 천안시, 남쪽으로는 공주시, 서남쪽으로 예산군, 서쪽으로 당진시(이상 충청남도)와 맞닿아 있음. | ||
− | * 면적 : 542 | + | * 면적 : 542.81㎢(2024년 기준) . 100,210㎢(남한면적)의 0.54%, 충청남도 내의 15개의 시·군 중 9번째로 큰 행정구역. <ref>국토교통부,「지적통계」, 2024, 2025.09.22, 행정구역별・지목별 국토이용현황_시군구.[https://kosis.kr/statHtml/statHtml.do?orgId=116&tblId=DT_MLTM_2300&conn_path=I2]</ref> |
* 인구 : 392,509명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내에서 천안시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. <ref>통계청,「인구총조사」, 2024, 2025.09.22, 인구, 가구 및 주택 – 읍면동(연도 끝자리 0, 5), 시군구(그 외 연도).[https://kosis.kr/statHtml/statHtml.do?orgId=101&tblId=DT_1IN1502&conn_path=I2]</ref> | * 인구 : 392,509명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내에서 천안시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. <ref>통계청,「인구총조사」, 2024, 2025.09.22, 인구, 가구 및 주택 – 읍면동(연도 끝자리 0, 5), 시군구(그 외 연도).[https://kosis.kr/statHtml/statHtml.do?orgId=101&tblId=DT_1IN1502&conn_path=I2]</ref> | ||
* GRDP : 33,139,542,000,000원(2015년 기준년가격), 충청남대 내에서 가장 높음.<ref>통계청(지역통계기획팀), 2021, 2025.09.22, GRDP(시/군/구).[https://kosis.kr/statHtml/statHtml.do?orgId=101&tblId=DT_1C65_03E&conn_path=I2]</ref> | * GRDP : 33,139,542,000,000원(2015년 기준년가격), 충청남대 내에서 가장 높음.<ref>통계청(지역통계기획팀), 2021, 2025.09.22, GRDP(시/군/구).[https://kosis.kr/statHtml/statHtml.do?orgId=101&tblId=DT_1C65_03E&conn_path=I2]</ref> | ||
* 수출금액 : 645.7억불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수출금액 925.9억불(2024년 기준)의 약 70%.<ref>아산시. 수출입현황.[https://www.asan.go.kr/stat/main/index.php?m_cd=35]</ref> | * 수출금액 : 645.7억불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수출금액 925.9억불(2024년 기준)의 약 70%.<ref>아산시. 수출입현황.[https://www.asan.go.kr/stat/main/index.php?m_cd=35]</ref> | ||
− | * 주요 기업 : 삼성전자 공장, 삼성디스플레이 | + | * 주요 기업 : 삼성전자 공장, 삼성디스플레이 본사, 현대자동차 공장 |
* 산업 구조 :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음.<ref>충청남도 아산시, 충청남도아산시기본통계, 2023, 2025.09.23, 산업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.[https://stat.kosis.kr/statHtml_host/statHtml.do?orgId=694&tblId=DT_69401_D000003&conn_path=I2&dbUser=NSI_IN_694]</ref> | * 산업 구조 :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음.<ref>충청남도 아산시, 충청남도아산시기본통계, 2023, 2025.09.23, 산업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.[https://stat.kosis.kr/statHtml_host/statHtml.do?orgId=694&tblId=DT_69401_D000003&conn_path=I2&dbUser=NSI_IN_694]</ref> | ||
** 산업종사자 : 204,210명(2023년 기준) | ** 산업종사자 : 204,210명(2023년 기준) | ||
33번째 줄: | 33번째 줄: | ||
* 삼한시대: 마한의 염로국 | * 삼한시대: 마한의 염로국 | ||
* 백제시대: 舊 온양군 지역은 탕정군, 舊 아산군 지역은 아술현, 舊 신창군 지역은 굴직현 | * 백제시대: 舊 온양군 지역은 탕정군, 舊 아산군 지역은 아술현, 舊 신창군 지역은 굴직현 | ||
− | * 통일신라: 경덕왕16년(757) 9주 5소경 개편시 아술현은 음봉현, 굴직현은 기량현으로 개칭, 탕정군의 | + | * 통일신라: 경덕왕16년(757) 9주 5소경 개편시 아술현은 음봉현, 굴직현은 기량현으로 개칭, 탕정군의 영현(領縣)이 되었음. |
* 고려: 舊 온양군 지역은 온수군, 舊 아산군 지역은 인주, 舊 신창군 지역은 신창현으로 개칭, 모두 현종9년(1018)에 천안부에 소속됨. 인주는 후에 아주현으로 개칭. | * 고려: 舊 온양군 지역은 온수군, 舊 아산군 지역은 인주, 舊 신창군 지역은 신창현으로 개칭, 모두 현종9년(1018)에 천안부에 소속됨. 인주는 후에 아주현으로 개칭. | ||
* 조선: 舊 온양군 지역은 세종24년(1442) 온양군으로 승격, 舊 아산군 지역은 태종13년(1413) 아산현으로 개칭, 舊 신창군 지역은 태종16년(1416) 신창현이 됨. 모두 고종33년(1896)에 13도 개편에 따라 충청남도 소속이 됨. | * 조선: 舊 온양군 지역은 세종24년(1442) 온양군으로 승격, 舊 아산군 지역은 태종13년(1413) 아산현으로 개칭, 舊 신창군 지역은 태종16년(1416) 신창현이 됨. 모두 고종33년(1896)에 13도 개편에 따라 충청남도 소속이 됨. | ||
69번째 줄: | 69번째 줄: | ||
** 진청암(철거) | ** 진청암(철거) | ||
* 방조제와 수산업 | * 방조제와 수산업 | ||
− | ** 조수간만 | + | ** 조수간만 차가 큰 아산만 |
** 염전 | ** 염전 | ||
** 농지 | ** 농지 | ||
** 삽교천 방조제와 삽교호 | ** 삽교천 방조제와 삽교호 | ||
+ | ** 간척 | ||
* 공세리<ref>한기원. 2024년 7월 6일자. 아산 ‘공세리성당’ 곡식창고 위에 아름다운 성당 세우다. 홍주일보.[https://www.hjn24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23548]</ref> | * 공세리<ref>한기원. 2024년 7월 6일자. 아산 ‘공세리성당’ 곡식창고 위에 아름다운 성당 세우다. 홍주일보.[https://www.hjn24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23548]</ref> | ||
** 공세 관창이 있던 곳 | ** 공세 관창이 있던 곳 | ||
103번째 줄: | 104번째 줄: | ||
** 도고관광호텔: 현재 찾을 수 없음. | ** 도고관광호텔: 현재 찾을 수 없음. | ||
** 도고 골프장: 도고 CC로 추정 | ** 도고 골프장: 도고 CC로 추정 | ||
+ | * 아산온천 | ||
* 공세리 | * 공세리 | ||
** 공세 관창: 현재 천주교 공세리 성당. | ** 공세 관창: 현재 천주교 공세리 성당. | ||
124번째 줄: | 126번째 줄: | ||
* 온양민속박물관 | * 온양민속박물관 | ||
* 맹씨행단(쇠일골) | * 맹씨행단(쇠일골) | ||
+ | * 외암민속마을[http://oeam.co.kr/main/] | ||
== 물산 == | == 물산 == | ||
146번째 줄: | 149번째 줄: | ||
** 콘크리트로 새로 지은 현충사 본전 | ** 콘크리트로 새로 지은 현충사 본전 | ||
** 쇠일골의 맹씨 행단 | ** 쇠일골의 맹씨 행단 | ||
+ | * 병튜브 | ||
+ | ** 천안과 아산 통합 문제. | ||
+ | ** 아산이냐 온양이냐. | ||
+ | |||
+ | == 참고 자료 == | ||
+ | * 단행본 | ||
+ | ** 뿌리깊은나무, 1986, 한국의 발견 - 충청남도. | ||
+ | * 사이트 | ||
+ | ** 아산학연구소 아카이브(DB) 플랫폼.[http://asanhak.or.kr/] | ||
+ | * 유투브 | ||
+ | ** 병투브, 온천의 도시 충청남도 아산시는 어떤 곳일까? 자세하게 알아보자!. 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qdwvSoi9Ao] | ||
== 할일 == | == 할일 == | ||
− | * todo | + | * todo)문화재 목록 정리 -> 유물은 국가지정유산만, 유적위주로 정리. |
− | * todo | + | * todo)대동여지도/대동지지 지명 정리 |
− | * todo | + | * todo)한국의 발견 각주 필요한 곳 넣어주기 |
− | * todo | + | * todo)답사지 주소, 특징 등 정리 |
− | * todo | + | * todo)mymap의 지도 iframe으로 넣어주기 |
− | * todo | + | * todo)지명 유형 분류 다시 할 것. |
− | * todo | + | * todo)주요 참고 자료 보완. - 아산시 관련 개설서, 사이트, 주요 논문들. |
− | * todo | + | * todo)인물은 생몰 연도가 들어가야함. 한자 병기. 아예. 민백을 연결하는 것도 좋겠음. |
− | * todo | + | * todo)교통 관련 정리 - 국도, 고속도로, 주요 역, 버스터미널 |
− | * todo | + | ** 배방, 탕정 지역은 천안과 소통. |
− | * todo | + | ** 둔포, 영인 지역은 평택과 소통 |
− | + | ** 천안과는 상권과 교통 공유. | |
− | + | ** 아산청주고속도로 개통 | |
− | * | + | ** 제2서해안고속도로(익산평택고속도로) 건설 예정 |
− | * | + | ** 장항선, KTX(온양온천역, 천안아산역), 수도권 1호선(~신창역) |
+ | * todo)상권 정리 - 구도시(원도시), 신도시 등. | ||
+ | * todo)지역 슬로건, 아산 8경등 정리. | ||
+ | * todo)지역 구분, 조선시대 군현은 정리되었고, 현재 기준으로 정리 | ||
+ | * todo)주요 답사지 사진 정리하기 -> 앨범 형식 사용. | ||
+ | * todo)인구 추세 정리하기(역사지리적 관점) | ||
+ | * todo)진송옥, 관봉매 의견 반영. | ||
+ | * todo)산경표 아산의 산줄기 정리하기. 레이어는 곧 공유하겠음. | ||
+ | * todo)현재 지도 깔끔하게 한장 GIS로 그리기 - 면단위행정구역, 주요 하천, 주요 교통로. 주요 시설. 주요 지명. | ||
+ | ** 읍과 동으로 구성된 지역은 색상을 달리하기 - 시가지 강조. | ||
+ | ** DEM 깔아주기, 높이보다 경사도 한번 응용해 보는 것도 좋겠음. | ||
+ | * todo)주요 지명 유래 정리해 주면 좋겠음. 아산, 온양(탕정), 신창과 주요 지명 몇 개 정도.(지명유래사전 활용) | ||
+ | * todo)아산만 일대의 간척과 항만, 산업단지 조성(아산인주공단, 아산운용공단, 아산테크노벨리) | ||
+ | ** 산업구조 : 제조업 비율만 넣지 말고, 농축어업(1차), 제조,공업(2차), 서비스업(3차) 비율을 넣어줄것. | ||
+ | ** 재정자립도 조사하기(충남에서 몇번째?) | ||
== 문서 이력 == | == 문서 이력 == |
2025년 10월 9일 (목) 23:46 기준 최신판
답사지
- 영괴대
- 현충사
- 삽교천 방조제
- 아산천 방조제
- 아산 맹씨 행단
- 천주교 공세리 성당
- 영인산성
지역 개요
- 위치 : 아산시는 충청남도 북쪽 끝에 위치한 시로서,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, 서쪽으로는 천안시, 남쪽으로는 공주시, 서남쪽으로 예산군, 서쪽으로 당진시(이상 충청남도)와 맞닿아 있음.
- 면적 : 542.81㎢(2024년 기준) . 100,210㎢(남한면적)의 0.54%, 충청남도 내의 15개의 시·군 중 9번째로 큰 행정구역. [1]
- 인구 : 392,509명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내에서 천안시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. [2]
- GRDP : 33,139,542,000,000원(2015년 기준년가격), 충청남대 내에서 가장 높음.[3]
- 수출금액 : 645.7억불(2024년 기준). 충청남도 수출금액 925.9억불(2024년 기준)의 약 70%.[4]
- 주요 기업 : 삼성전자 공장, 삼성디스플레이 본사, 현대자동차 공장
- 산업 구조 :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음.[5]
- 산업종사자 : 204,210명(2023년 기준)
- 제조업 종사자 : 93,965명(2023년 기준).
- 인구 구성 : 젋은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도시.[6]
- 평균 연령 : 40.9세 / 전국 45.1세
- 중위 연령 : 41.2세 / 전국 46.2세
- 자연지리[7]
- 아산시 북쪽으로는 차령산맥의 여맥에 속하는 산맥이 있어, 영인산(363.5m)등이 있으며, 남쪽으로도 산이 발달하여 도고산(484.7m), 설화산(447.5m), 광덕산(699.3m) 등이 있음.
- 남쪽 산맥에서 발원하는 곡교천은 아산시 중앙을 동에서 서로 관통하며, 삽교천과 합쳐져 아산만으로 흘러감.
- 북쪽으로는 아산만방조제로 생긴 아산호, 서쪽으로는 삽교천방조제로 생긴 삽교호가 있으며, 그 사이로 아산만을 통해 서해로 나갈 수 있음.
행정구역 변천
- 삼한시대: 마한의 염로국
- 백제시대: 舊 온양군 지역은 탕정군, 舊 아산군 지역은 아술현, 舊 신창군 지역은 굴직현
- 통일신라: 경덕왕16년(757) 9주 5소경 개편시 아술현은 음봉현, 굴직현은 기량현으로 개칭, 탕정군의 영현(領縣)이 되었음.
- 고려: 舊 온양군 지역은 온수군, 舊 아산군 지역은 인주, 舊 신창군 지역은 신창현으로 개칭, 모두 현종9년(1018)에 천안부에 소속됨. 인주는 후에 아주현으로 개칭.
- 조선: 舊 온양군 지역은 세종24년(1442) 온양군으로 승격, 舊 아산군 지역은 태종13년(1413) 아산현으로 개칭, 舊 신창군 지역은 태종16년(1416) 신창현이 됨. 모두 고종33년(1896)에 13도 개편에 따라 충청남도 소속이 됨.
- 일제강점기: 1914년 온양, 아산, 신창을 폐합해 아산군으로 개편.
- 대한민국: 1986년 아산군 온양읍이 온양시로 승격분리. 1995년 아산군과 온양시 통합 아산시로 개편.
※ 행정구역 이력 출처 [8]
지역 키워드
- 이순신
- 서울 출생
- 벼슬하기 전까지 아산에서 삶
- 음봉면 금성산에 장사
- 음봉면 어라산으로 이장.
- 현충사
- 숙종이 사액(賜額). 대원군 서원 철폐 당시 함께 없어짐.
- 1932년 동아일보사에서 재건.
- 1962년 유물 전시관과 사무실 건축.
- 1967년 넓히면서 사적 155호 지정, 목조 건물을 콘크리트 건물로 바꿈, 충무문 건설.
- 1973년 생가 복원, 충무정 조성.
- 이순신 장군 영정을 모심.
- 온양 온천
- 백제 때는 온정, 고려시대에는 온수
- 일제시대에 장항선이 들어옴
- 도고 온천
- 새로운 휴양지
- 신정호: 주필 신정. 일제강점기에 넓혀 호수를 만듦
- 아산군청
- 1986년 당시 : 온양면 온천리 106-2번지에 있었으나, 현재 지번 자체가 사라짐.
- 1차 이전 : 염치읍 송곡리 244-19번지
- 현재 : 온양1동 1626번지
- 청-일 전쟁
- 풍도 앞바다에서 청-일 전쟁이 시작
- 패배한 청나라 군대가 백석포로 상륙, 영인산을 중심으로 진 구축. 이후 이곳에서 전투.
- 일본 승전 기념비(철거)
- 진청암(철거)
- 방조제와 수산업
- 조수간만 차가 큰 아산만
- 염전
- 농지
- 삽교천 방조제와 삽교호
- 간척
- 공세리[9]
- 공세 관창이 있던 곳
- 현재 천주교 공세리 성당
- 삼도해운판관비
- 온양 민속 박물관
- 맹사성
- 쇠일골: 쇠를 캐는 광산, 맹사성의 고향
- 맹씨 행단: 맹사성이 은퇴 후 지내던 집. 최영 장군의 집이었다가 맹사성이 물려 받음.
- 산성
- 20개의 산성이 존재[10]
- 탕정고성(湯井古城): 배방산(排方山)에 있으며, 둘레가 3,513척, 우물이 2개.[11]
- 학성(鶴城): 둘레가 1,213척, 우물이 2개
- 당성(溏城): 장포(獐脯)에 있으며, 공양왕 때 성을 쌓음. 부근 주현(州縣)에서 세금을 걷어 조운으로 서울로 운반.[12]
- 신성(薪城): 영인산(寧仁山)위에 있음. 고성이 두 개. 북성(北城)은 돌로 만들었으며, 둘레는 480척, 우물이 1개. 남성(南城)은 흙으로 쌓았으며, 둘레는 408척. 예전에는 평택(平澤) 사람들이 이곳으로 피난을 와 평택성이라고 부름.
- 어라항성(於羅項城): 요로원(要路院)에 있으며, 읍치로부터 서남쪽 5리에 있음. 둘레는 364척.
- 수한성(水漢城): 읍치로부터 동쪽 10리에 있음. 둘레는 2,420척.
- 앵리성(鶯里城): 읍치로부터 동쪽 20리에 있음. 둘레는 655척.[13]
주요 지명
- 행정구역(현재)
- 읍: 염치, 배방
- 면: 송악, 탕정, 음봉, 둔포, 영인, 인주, 선장, 도고, 신창
- 동: 온양1, 온양2, 온양3, 온양4, 온양5, 온양6
- 온양온천
- 온양행궁: 영괴대만 현존
- 온양관광호텔
- 제일관광호텔: 현재 온양제일호텔로 추정
- 도고온천
- 도고관광호텔: 현재 찾을 수 없음.
- 도고 골프장: 도고 CC로 추정
- 아산온천
- 공세리
- 공세 관창: 현재 천주교 공세리 성당.
- 삼도해운판관비
- 아산군청
- 아산만
- 풍도 앞바다
- 백석포
- 영인산
- 안성천
- 차령산맥 : 광덕산, 대화산(태화산), 망경산, 봉수산
- 설화산
- 고분다리천: 곡교천의 옛 이름.[14]
- 신정호
- 아산만방조제 : 아산호
- 삽교천방조제 : 삽교호
- 현충사
- 아산군 염치면 백암리(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)
- 금성산: 금산으로 추정.
- 어라산: 충무공 이순신 묘소
- 온양민속박물관
- 맹씨행단(쇠일골)
- 외암민속마을[12]
물산
- 농업(1986년 당시) : 쌀, 보리, 콩, 고구마, 약초, 과일, 사과, 배, 복숭아, 참외, 수박, 채소, 파, 시금치, 오이, 미나리, 무, 배추.
- 축산업(1986년 당시) : 젖소
- 수산업(1986년 당시) : 민어, 농어, 삼치, 새우, 소금, 굴, 조개, 김
문화재
지역 이슈
- 한국의 발견
- 오늘도 우리는 그 이 순신을 만나러 간다.
- “아산이 깨어지나 평택이 무너지나”
- 아산에서 벌어진 청-일 전쟁
- 첫손에 꼽히는 과일과 채소
- 방조제로 가로막힌 수산업
- 역사가 오랜 온양 온천
- 한 집 걸러 선 대중 목욕탕
- 차기는 눈과 같고 맑기는 거울 같은 물
- 온양 민속 박물관
- 꺼지지 않는 현충사의 향불
- 콘크리트로 새로 지은 현충사 본전
- 쇠일골의 맹씨 행단
- 병튜브
- 천안과 아산 통합 문제.
- 아산이냐 온양이냐.
참고 자료
- 단행본
- 뿌리깊은나무, 1986, 한국의 발견 - 충청남도.
- 사이트
- 아산학연구소 아카이브(DB) 플랫폼.[13]
- 유투브
- 병투브, 온천의 도시 충청남도 아산시는 어떤 곳일까? 자세하게 알아보자!. [14]
할일
- todo)문화재 목록 정리 -> 유물은 국가지정유산만, 유적위주로 정리.
- todo)대동여지도/대동지지 지명 정리
- todo)한국의 발견 각주 필요한 곳 넣어주기
- todo)답사지 주소, 특징 등 정리
- todo)mymap의 지도 iframe으로 넣어주기
- todo)지명 유형 분류 다시 할 것.
- todo)주요 참고 자료 보완. - 아산시 관련 개설서, 사이트, 주요 논문들.
- todo)인물은 생몰 연도가 들어가야함. 한자 병기. 아예. 민백을 연결하는 것도 좋겠음.
- todo)교통 관련 정리 - 국도, 고속도로, 주요 역, 버스터미널
- 배방, 탕정 지역은 천안과 소통.
- 둔포, 영인 지역은 평택과 소통
- 천안과는 상권과 교통 공유.
- 아산청주고속도로 개통
- 제2서해안고속도로(익산평택고속도로) 건설 예정
- 장항선, KTX(온양온천역, 천안아산역), 수도권 1호선(~신창역)
- todo)상권 정리 - 구도시(원도시), 신도시 등.
- todo)지역 슬로건, 아산 8경등 정리.
- todo)지역 구분, 조선시대 군현은 정리되었고, 현재 기준으로 정리
- todo)주요 답사지 사진 정리하기 -> 앨범 형식 사용.
- todo)인구 추세 정리하기(역사지리적 관점)
- todo)진송옥, 관봉매 의견 반영.
- todo)산경표 아산의 산줄기 정리하기. 레이어는 곧 공유하겠음.
- todo)현재 지도 깔끔하게 한장 GIS로 그리기 - 면단위행정구역, 주요 하천, 주요 교통로. 주요 시설. 주요 지명.
- 읍과 동으로 구성된 지역은 색상을 달리하기 - 시가지 강조.
- DEM 깔아주기, 높이보다 경사도 한번 응용해 보는 것도 좋겠음.
- todo)주요 지명 유래 정리해 주면 좋겠음. 아산, 온양(탕정), 신창과 주요 지명 몇 개 정도.(지명유래사전 활용)
- todo)아산만 일대의 간척과 항만, 산업단지 조성(아산인주공단, 아산운용공단, 아산테크노벨리)
- 산업구조 : 제조업 비율만 넣지 말고, 농축어업(1차), 제조,공업(2차), 서비스업(3차) 비율을 넣어줄것.
- 재정자립도 조사하기(충남에서 몇번째?)
문서 이력
- 2025.09.24 : 최경현, 문화역사지리현장조사2, 아산시 답사 계획서 작성.
- 2025.10.08 : 김현종, 위 문서를 위키 형태로 전환.
- 2025.10.08 : 김현종, 대동여지도 지명 및 기호 현위치 복원 지도 업로드.
각주
- ↑ 국토교통부,「지적통계」, 2024, 2025.09.22, 행정구역별・지목별 국토이용현황_시군구.[1]
- ↑ 통계청,「인구총조사」, 2024, 2025.09.22, 인구, 가구 및 주택 – 읍면동(연도 끝자리 0, 5), 시군구(그 외 연도).[2]
- ↑ 통계청(지역통계기획팀), 2021, 2025.09.22, GRDP(시/군/구).[3]
- ↑ 아산시. 수출입현황.[4]
- ↑ 충청남도 아산시, 충청남도아산시기본통계, 2023, 2025.09.23, 산업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.[5]
- ↑ [통계청,「인구총조사」, 2024, 2025.09.23, 연령 및 성별 인구 – 읍면동.[6]
- ↑ 아산시. 위치·자연환경.[7]
- ↑ 아산시. 아산시연혁.[8]
- ↑ 한기원. 2024년 7월 6일자. 아산 ‘공세리성당’ 곡식창고 위에 아름다운 성당 세우다. 홍주일보.[9]
- ↑ 월간중앙. 2010년 3월 19일자. 아산에만 20개 山城 그 많은 성을 누가 쌓았을까.[10]
- ↑ 이상태 외. 2023. 대동지지 2 충청도. 경인문화사. 98쪽.
- ↑ 이상태 외. 2023. 대동지지 2 충청도. 경인문화사. 131쪽.
- ↑ 이상태 외. 2023. 대동지지 2 충청도. 경인문화사. 134-135쪽.
- ↑ 최원회. 곡교천.[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