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 수원 정송고현(조선)

역지사지(歷地思之) - 역사지리정보(HGIS) 위키
Histgeo (토론 | 기여)님의 2025년 10월 31일 (금) 14:30 판 (→‎현위치 비정)
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

기록

  • 고려사 : 1018년, 송산부곡(松山部曲)에서 정송현으로 승격되어 수주로 내속
  • 대동지지 : 서남쪽 35리, 본래 백제(百濟)의 송산(松山). 경덕왕(景德王)이 정송(貞松)으로 바꾸어 당성군(唐城郡)의 영현(領縣)으로 삼음. 고려 현종(顯宗) 9년(1018년)에 내속.
    • 고려사에는 현종(顯宗) 9년 지금의 명칭으로 개칭으로 기록. 대동지지의 기록 오류 가능성.

표기

  • 대동여지도 : 정송현(貞松縣)

현위치 비정

  • 대동여지도, 동여도 : 건달산 남쪽, 남양 월경지(분향면) 부근.
  • 정찬모(화성지역학연구소장) :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백리 [화성저널 https://www.hsj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389]
    • 조선 때 송산부곡이 남곡면이 됨. -> 근거확인필요
    • 전설에 의하면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에 오산의 독산성을 침공하면서 왜장인 가토기요마사(加藤正)이 부하들에게 잣나무가 많은 마을은 침략하지 말라고 명령을 내려 덕분에 이 마을은 피해를 면했다고 하며 그리하여 이 마을을 정송(貞松)이라 함
    • 1914년 행정구역 통·폐합 때에 백2리의 오리골, 점말, 양지편과 백1리,웃말의 큰골, 까치골(鵲谷)을 병합하여 백리(栢里)로 정함
    • 마을 입구에는 수령이 300년가량의 느티나무가 있으며 보호수(경기-화성 - 48)로 지정.
    • 잣골 : 잣>자>재, 재’는 지금은 단순히 ‘고개’의 뜻으로만 쓰이고 있지만 옛날엔 ‘산(山)’이나 ‘성(城)’의 뜻으로도 쓰였으며 ’잣‘으로 나온다
송산부곡의 위치비정이 핵심임
건달산 남쪽, 남양 월경지(분향면) 북쪽에는 조선시대에 팔탄면, 갈담면, 남곡면이 위치
남곡면이 가능성 있고, 백리도 백->잣->성 이라는 공식에 의해 성이 위치할 가능성 있어 고현 가능성 있음.
국가유산보존관리지도에는 여러 유물산포지가 확인되나, 국가지정유산, 지자체지정유산으로 정해진 곳은 없음.
현위치 비정 어려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