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사GIS 연구자
둘러보기로 이동
검색으로 이동
HGIS : 지리 중심
- 김종혁(←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)
- 김현종(←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)
- 박선영(←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)
- 최유식(←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)
- 박혜진
- 박혜진, 2017, 『20세기 초 한국의 면(面) 경계 복원』,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.[1]
HGIS : 역사 중심
- 양정현(←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)
- 남호현(←상세 연구 목록은 여기서)
- 주성지
- 주성지, 2019, 구글맵을 활용한 최부 『표해록』의 노정 복원, 『역사민속학』 57, 229-263.[2]
- 정요근
- 정요근, 김현종, 2022, 「역사 GIS 기반 1910년 기준 면(面) 단위 행정구역의 복원」, 『한국사연구』. [3]
- 유슬기
- 유슬기, 2022, 『근대도시 경성에서의 토지가격 결정 요인 연구 -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-』, 박사학위논문.[4]
- 엄기석
- 엄기석, 2023, 「역사지리정보시스템(HGIS)을 활용한 조선후기 군현도로 복원 - 여지도서 황해도 도로조를 중심으로 - 」, 『한국고지도연구』, 15(2), 5-24쪽. [5]
- 김현정
- 김현정, 2025, 『1910년 전후 서울북촌연구 - 장소와 인물을 중심으로』, 박사학위논문. [6]
HGIS : DH 중심
- 류인태
- 김현
- 김현, 임준근, 2009, 「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」, 『인문콘텐츠』. [9]
고지도+GIS 관련 연구
- 이상일, 조대헌, 2014, 「고지도의 왜곡 양상에 대한 GIS-기반 연구」, 49(3), 『대한지리학회지』, 438-455쪽. [10]
- 조대헌, 이상일, 2017, 「GIS 분석을 이용한 『대동여지도』의 투영법 추정」, 『한국지도학회지』, 17(2), 11-27쪽. [11]
- 기경량, 2018, 『GIS 정보와 고지도를 활용한 고구려의 주요 교통로 및 거점 복원』 연구보고서, 한국연구재단. [12]
- 서정신, 2000, 「고지도와 디지털 내비게이션」, 『영상문화』, 2, 41-53쪽. [13]
- 박경식, 2010, 「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」, 『한국측량학회지』, 28(1), 117-124쪽. [14]
- 이옥선, 2012, 「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지도 서비스」, 『문화역사지리』, 24(1), 76-94쪽. [15]
- 민경주, 정만호, 2022, 「디지털 대동여지도 개발과 인문 소프트웨어 개발 방향」, 『한문학논집』, 205-240쪽. [16]
- 이민철, 2011, 『구글 위성지도로 구현한 대동여지도의 지리정보 : 강원도 지역 山城을 중심으로』,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[17]
고고학+GIS 관련
- 강동석, 2011, GIS 를 활용한 지석묘 공간분포패턴의 사회경제적 배경 이해, 『중앙고고연구』 8, 1-37.[18]
- 김유진, 강동석, 2022, 매장문화재 공간정보의 활용 방안 연구: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, 『대한공간정보학회지』, 30(2), 21-29.[19]
한국 역사 GIS 관련
- 강지현, 2022, 「지도로 본 경기도 가평군의 행정구역 변천 과정」, 『한국고지도연구』, 14(1), 121-146쪽. [20]
- 강지현, 2022, 『경기도 가평군의 지명과 행정구역 변천』,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. [21]
일본 역사 GIS 관련
- 홍명진, 2017, 「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(HGIS)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- 일본 근세 시대 지역공간 복원방법을 사례로 -」, 『대한지리학회지』. [22]